당뇨 수치 – 혈당 기준 정리와 관리 지표 한눈에 보기
- 건강정보
- 2025. 4. 9. 11:18
당뇨 수치 – 혈당 기준 정리와 관리 지표 한눈에 보기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이 높은 상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혈당이 높게 유지되면서 온몸의 혈관과 장기를 손상시키는 만성질환입니다.
문제는 혈당이 어느 정도 올라야 ‘당뇨’라고 진단되는지,
어떤 수치를 기준으로 정상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공복혈당, 식후혈당, 당화혈색소(HbA1c) 등
당뇨 진단과 관리에 중요한 수치들을 정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1. 당뇨 진단 기준 수치
항목 정상 공복혈당장애 (전당뇨) 당뇨병 진단
공복혈당 (mg/dL) | 70~99 | 100~125 | 126 이상 |
식후 2시간 혈당 | 140 이하 | 140~199 | 200 이상 |
당화혈색소 (HbA1c) | 5.6% 이하 | 5.7~6.4% | 6.5% 이상 |
✔ 공복혈당: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
✔ 식후혈당: 식사 후 2시간 후 측정
✔ HbA1c: 최근 2~3개월간 평균 혈당을 반영하는 지표
✅ 2. 전당뇨 상태란?
당뇨병은 아니지만, 혈당이 정상보다 높아 당뇨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큰 상태를 ‘전당뇨’라고 합니다.
항목 전당뇨 수치
공복혈당 | 100~125 mg/dL |
식후 2시간 혈당 | 140~199 mg/dL |
당화혈색소 | 5.7%~6.4% |
✔ 전당뇨일 때 식습관, 체중, 운동만 잘 관리해도 당뇨 진행을 막을 수 있어요.
✅ 3.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 목표
항목 권장 목표 수치
공복혈당 | 80~130 mg/dL |
식후 2시간 혈당 | 180 mg/dL 이하 |
HbA1c | 6.5~7.0% 이하 유지 (환자 상태에 따라 다름) |
✔ 노인, 심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는 약간 더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 4. 혈당 수치별 증상
혈당 수치 증상 예시
정상 | 별다른 자각 증상 없음 |
100~125 | 목마름, 잦은 소변, 피로감 등 경미한 증상 |
126~200 이상 | 손발 저림, 시야 흐림, 무기력, 체중 감소, 상처 회복 지연 |
300 이상 | 의식 저하, 구토, 혼수 가능성 (응급상황) |
✔ 혈당이 높아도 증상이 전혀 없을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혈당 측정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5. 당뇨 관리 시 꼭 알아야 할 혈당 관련 수치 3가지
✔ 공복혈당 (FBS)
- 아침 공복에 측정
- 기준 이상이면 당뇨 전단계 혹은 당뇨 의심
✔ 식후 2시간 혈당 (PP2)
- 식사 시작 2시간 후 측정
- 식후 혈당 조절 상태를 체크하는 데 중요
✔ 당화혈색소 (HbA1c)
- 3개월간 평균 혈당 반영
- 식단, 운동, 약물 조절 효과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
마무리 요약표
항목 정상 수치 당뇨 진단 기준
공복혈당 | 70~99 mg/dL | 126 mg/dL 이상 |
식후 2시간 혈당 | 140 mg/dL 이하 | 200 mg/dL 이상 |
당화혈색소 | 5.6% 이하 | 6.5% 이상 |
혈당은 단 하루만 높다고 해서 당뇨가 아닙니다.
정확한 진단은 반복된 검사와 평균값으로 이루어지며,
한 번이라도 수치가 높게 나왔다면 식단과 생활습관을 적극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해요.
무증상인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정기적인 혈당 체크는 필수입니다.